티스토리 뷰

자녀의 읽기능력, 얼마나 정확하게 알고계신가?

초등 입학 전 읽기 능력이 평생 성적을 좌우한다.

 

 

한글을 읽고 쓰는데 어려움이 없는 아이도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글자는 읽지만 글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대게 부모님들은 아이가 글자를 읽으면

그 의미까지 다 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가령 '곰 사냥을 떠나자'라는 문장을 읽었더라도

 곰의 생김새나 특징, 사냥의 의미 등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어

아무런 이미지도 떠올리지 못했다면 이것은 제대로 읽은 것이 아닙니다.

 

 

'읽기'가 단순히 책에 쓰인 글자를 보고 소리 내 읊는 것이라면,

'읽기 능력'이란 글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으로

자신의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나아가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초등 입학 전 읽기 능력이 중요한 이유

 

초등 입학 전 읽기 능력을 키워줘야 하는 이유는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능력이 떨어지면 모든 학습에서 뒤처지고

학교생활에 흥미를 잃기 쉽기 때문입니다.

 

국어뿐아니라 모든 과목의 지식과 정보가 모두 글로 표현되어 있기때문에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면 당연히 좋은 성과를 낼 수 없겠죠?

 

'읽기'는 단순히 한글 읽기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글자는 물론이고 숫자나 그림을 읽는것도 읽기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

 

글자와 마찬가지로 숫자도 각각의 의미와 규칙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수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인지하는 것도 읽기의 개념으로 포함될 수 있습니다.

 

수학도 숫자로 표현된 일종의 언어이기때문에

글읽기와 수 읽기를 분리하여 생각하지 않은 것이 좋습니다.

 

 

 

 

 

국어시험의 약 77%는 읽기, 독해문제!  학교시험, 수능- '독해'가 결정적 키워드

 

학교시험내 읽기(독해)문항 비중은 초등학교 69%, 중학교 78%, 고등학교 84%입니다.

 

 

 

 

수능 지문을 해결는데 필요한 능력

 

 

1. 어휘, 개념: 어휘 사용능력과 기본개념의 이해능력.

2. 사실적 이해: 글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

3. 추론적 이해: 글에서 직접 명시되지 않은 정보를 논리적으로 추론.

4. 비판적 이해: 글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의 타당성, 적절성, 가치 및 우열에 대해 평가하며

                    문학작품을 감상하고 평가하는 능력.

5. 적용, 창의: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말이나 글의 개념과 원리를 새로운 맥락에 적용 또는 활용하는 능력.

 

 

 

 

 

 

 

국어실력은 글을 제대로 읽고 이해하는 독해력에서 비롯됩니다.

 

국어는 모든 과목의 도구 과목으로 독해력이 뛰어난 아이들은

수학, 과학, 사회 등 다른 과목도 수월하게 학습합니다.

 

체계적인 읽기 전략을 통해 독해력을 길러 주어

학습에 자신감을 갖게 합니다.

 

 

 

 

 

 

유아 - 낱말, 짧은 문장을 통한 읽기 및 어휘력 확대.

초등 - 어휘, 문법을 다지고 음독 및 속독 능력 향상.

중등 - 다양한 분야의 글감을 분석적으로 독해하고 축약하는 능력 완성.

고등 - 비평적 읽기 능력을 길러 논술 기초 능력 배양.

 

 

 

 

결론적으로 말하면 유아기에 언어, 수, 독서영역의 통합교육을 통해 세 영역을 균형있게 발달시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