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

초등 과학 교과서의 특징

윙라이온 2017. 5. 15. 05:30

초등 과학 교과서의 특징은 무엇일까요?

 

 

 

 

 

 

탐구활동, 실험관찰이 강화된 교과서

 

 

 

초등과학의 학습목표는 체계적인 탐구활동으로

 창의적인 사고력을 발달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직접 실험하고 조사하며 현상을 이해하고,

과학지식을 생활에 적용하는 것을 배웁니다.

 

이처럼 과학 교과서는 실험관찰 중심의 교과서로써

관찰, 비교, 분류, 측정을 통해

인과관계, 예상/추리, 자료변환/해석, 변인 통제의 과정을 학습합니다.

 

 

 

 

 

 

 

과학을 처음 접하게 되는 3학년의 경우,

실험이나 탐구활동이 많아 아이들이 쉽고 재미있어 하지만,

4학년부터는 낯선 과학 용어가 많이 등장하여 어렵게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등 저학년 시기에는 관찰, 경험 등에 대한

 연계독서를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해력이 중요해진 교과서

 

고학년이 되면 아이들은 지문을 읽고

개념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과학을 학습하며

한자어로 된 어려운 용어도 배우게 됩니다.

 

교과서 속의 '이런 것도 있어요.', '과학 이야기', '창의.인성 + 융합인재' 등의

과학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인 독해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과학 지문은 설명문 구조의 글이고 문체가 딱딱하기 때문에

과학적인 기초가 부족하고 배경지식이 없는 아이들은

 학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국어는 문맥의 흐름으로 글의 내용을 어느정도 유추할 수 있지만

과학은 정독하지 않으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독서를 통해 글을 읽고 정보를 파악하며

독해력을 길러 주는 것이 필수입니다.

 

 

 

 

2018년부터 과학과목에 "거꾸로 교실" 방식 도입

 

 

 

 

 

거꾸로 교실이란?

 

학교에서 배운후 집에서 복습하는 기존 학습방법에서 탈피하여

수업 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예습하고

교실에서는 이를 토대로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학교내용을 사전에 학습하고 수업진행

 

 

 

 

 

 

 

과학은 초등부터 고등과정 까지 반복심화 구성입니다.

 

예를들어 "빛의 원리"

4학년 2학기 거울과 그림자 로 학습한 뒤

 6학년 1학기 렌즈의 이용

중학교 2학년 빛의 파동,

고교 물리2 파동과 빛 까지 연계됩니다. 

 

 

 

 

 

과학은 연계성이 매우 큰 과목이지만

주제별 학습 간격이 2~3년이 생기는게

과학의 흥미를 뺏는 중요 원인 중 하나!

 

과학은 미리 준비하면 자신있는 과목!

늦어지면 보충이 절실한 과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