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수학 잘하는 아이 만들기
유아기의 수학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수학은 이미 세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처음 만남을 어떻게 하는 것인가가 중요하다.
4세의 수학놀이 - 비교하기 놀이가 적합하다.
비교하는 습관: 공통점: 두루마리 휴지는 둥글다 컵도 둥글다
차이점: 두루마리 휴지가 더 크다 컵이 더 무겁다.
5세의 수학놀이 - 양과 수를 대입, 비교하는 놀이가 적합하다
100까지 이상의 수를 세는 아이도 있다
생활에서 숫자를 익히게 한다 '많이'가 아닌 몇 개인가를 물어본다.
6,7세의 수학놀이 - 수 개념의 확장과 공간감각, 기억력, 추리력을 높일 수 있는 놀이가 적합히다.
아이가 셀 수 있는 범위를 자꾸 넓혀준다.
사람은 자기의 사고방식을 넘는 숫자를 읽지 못한다.
공간지각력도 중요하다.
블록 쌓기 활용도 도움이 된다.
초등수학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1,2학년 놀이처럼 몸으로 익히면서 공부를 한다.
3,4학년 본격적으로 수학의 발을 들여놓는 시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연산이다.
4학년까지 자연수의 사칙연산이 끝나는데 이때까지도
연산의 개념이나 빠르기가 완성되지 않으면 이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5,6학년은 갈림길이다.
수포자가 되느냐 그렇지 않으냐
특별히 5학년이 더 그렇다.
왜냐하면 교과서의 반 이상이 분수로 도배가 되어있는데
아이들은 자연수에 비해 분수를 받아들이는 것을 어려워한다.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 연산학습법 "수학의 기본은 연산이다"
초등수학은 중등, 고등수학의 기초를 다지는 단계이다.
이런 초등과정에서는 '연산'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많은 학부모들이 난이도 있는 서술형 문제를 강조하면서,
단순한 연산문제를 다루는 데에는 매우 소홀하다.
어릴때 수를 쪼개고, 나누고, 분석해 본 학생들은 확실히 이해가 뛰어나다.
고등학생이 되어 수학을 잘 못하더라도
연산을 다져놓은 학생은 충분히 수학성적을 올릴 수 있다.
또, 사고력을 요하는 서술형 문제를 풀기 위해서도 연산은 기본 이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수학은 연산이 대부분이다.
연산을 일반적으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의 사칙연산을 말한다.
물론 서술형과 응용문제가 있지만, 그 근간은 정확하고 빠르게 계산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연산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들도 쉽지않은 게 일반적이다.
특히, 4학년부터는 숫자가 커지고, 과정이 복잡한 문제들이 등장하기때문에
그 전에 연산을 확실히 해 두어야한다.
3학년까지 수를 분해하며, 빠르게 계산하는 것을 제대로 익혀두지 않는다면
4학년이 되면서 수학을 어려워하고, 싫어하게 된다.
4학년이 되면서 수학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많다
학년까지 연산능력 향상에 중점을 뒀다면
4학년부터는 지금까지 학습한 개념을 응용한
난이도 높은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이다.
연산은 수학 자체가 아니라, 수학을 잘하기 위한 도구지만,
수학적 자신감을 기르는데는 큰 영향을 미친다.
교과서 중심의 개념이해가 먼저다.
특히 곱셈은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일관되게 나오는 개념이다.
분수부터 미분, 적분까지 연결되기때문에
곱셈의 원리를 이해하면 수학 실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
구구단도 노래로 외우지 말고, 왜 그렇게 되는지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6*3의 답을 외우는게 아니라
6*3의 답이 나오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꾸준한 연산 훈련 필요
연산은 어느정도 인고의 시간이 필요하다.
수학은 연계성을 갖는 계통학문이므로 평상시 꾸준히 해야한다.
연산을 자전거를 배우듯 체득이 되어야한다.
아직도 숫자를 더하거나 빼는데 손가락을 이용하거나 한참을 생각한다면
아직까지 연산이 습득되지 않은 것이다.
실제 곱셈을 잘하다가도 도형을 하다가 다시풀면
곱셈의 기본조차 잊어버리는 학생들이 있다.
바로 꾸준히 학습하지 않았던 탓이다.
연산의 개념을 이해해도 꾸준히 연습하지 않으면
바로 잊어버리는게 초등학생이다.
연산을 잘하는 아이들은 문제푸는 속도가 빠르고 실수도 적다.
오랜 습득을 통한 결과물인 것이다.
매일이 힘들면 이틀에 하루는 반드시 연산을 해야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교 입학 전 준비물 체크리스트 (0) | 2017.05.20 |
---|---|
초등학교 첫 입학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요? (0) | 2017.05.19 |
EBS 안보는 요즘 고3 (0) | 2017.05.16 |
초등 과학 교과서의 특징 (0) | 2017.05.15 |
점점 어려워지는 과학, 어떻게 준비할까? (0) | 2017.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