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유아교육! 언제 시작할까요?
1. 6~7세가 되면 한글을 다 알게 된다구요?
3세에 200~300개 어휘를 인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글떼기는 어렵습니다.
6세에 2,000~3,000개 어휘를 인지하고 있으면 한글떼기가 쉽습니다.
그러나 3~4세에 교육적 환경을 제공한다면 2,000~3,000개의 어휘를 인지할 수 있고 한글떼기도 가능해집니다.
빠른 책 읽기를 통해 배경지식을 확장하고 자극과 환경에 따라 끌어올릴 수 있는 상한선이 달라집니다.
2. 유아학습 언제... 시작하는게 적절할까요?
태어나서 36개월 이전에 말을 배우고, 자유자재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경이로운 뇌 발달 덕분입니다.
유아 36개월 전의 뇌 변화는 아인슈타인 같은 성인 천재의 뇌 변화보다 훨씬 더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어릴때 외국어(언어)를 습득하면 유창한 것처럼 교육은 일정한 시기를 넘어가면 습득이 힘들어집니다.
학습을 시작하기에 좋은 시기는 아이마다 다르지만, 뇌발달이 왕성할 때 자극을 준다면 두뇌가 발달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아이가 숫자나 글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면 이미 학습을 시작하기 충분한 시기입니다.
3. 유아기 수학교육으로 전인적 발달시키기
유아기가 수학교육의 결정적 시기입니다.
최근 영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아들은 출생 시 미미하지만 간단한 뺄셈과 덧셈 같은 수의 연산능력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생후 4개월 영아도 사물 1개에 1개를 더하면 2개가 되어야 함을 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 타고난 유아의 수학적 본성이 잘 개화될 수 있도록 발달수준에 적합한 수학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인지발달 |
수학과 관련된 활동자료들을 제공해주고 상호작용 해 줄 때, 유아들은 좀더 상위의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를 획득하게 되며 인지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사회성 및 정서발달 |
또래나 교사가 함께 교구를 조작하거나 활동을 경험하고 상호작용 함으로써 정서적인 안정감이 강화된다.
|
언어발달 |
또래나 교사로부터 다양하고 새로운 수학적 어휘를 습득하고, 수학적 원리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유아 언어 발달과 의사소통 능력이 증진된다.
|
신체발달 |
수학 교구들을 조작하면서, 이를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 및 소근육 등 자신의 감각기능과 신체능력을 보다 정교하게 발달시키게 된다.
|
절대음감(Absolute Pitch)의 정의
기준음이 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음을 듣고서 음이름을 판별하거나 원하는 음을 소리낼 수 있는 능력.
절대음감은 유전적이라는 설이 있지만 현재는 조기교육(주로2~4세)에 특정한 음악 교육을 받음으로써 절대음감을
획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후에 절대음감 교육을 받아서 음을 판별하는 능력을 얻을 수도 있지만, 조기교육을 통한 절대음감보다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는 진짜 절대음감이 아닌 것으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수학도 영유아기 감각이 중요합니다.
절대음감만이 아니라 수학의 감각도 영유아기에 발달합니다.
뇌 발달이 가장 왕성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두되 발달은 4세까지 80%, 6세가 되면 90% 완성됩니다.
초등 1학년이 목표가 아닌 고교수학을 목표로 한다면 만 2~4세에 수감을 키워주세요.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 대학 갈때 10명중 8명 꼴 수시로 뽑는다. (0) | 2017.06.10 |
---|---|
2019년부터초등학교 5~6학년 교과서에 한자표기 (0) | 2017.06.09 |
초등수학 잘하는 법 (0) | 2017.06.07 |
국어 맞춤법 틀려 대기업 떨어진다!! (0) | 2017.06.06 |
타고난 성격, 기질에 따른 학습법 (0) | 2017.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