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교육

타고난 성격, 기질에 따른 학습법

윙라이온 2017. 6. 3. 18:18

타고난 성격, 기질에 따른 학습법

 

 

유아들 중에는 순하게 크는 아이가 있는가하면 잠시도 엄마를 가만히 놔두지 않는 까다로운 아이도 있습니다.

이러한 기질은 타고나는 것이어서 그 자체가 크게 달라지진 않지만, 융화하거나 강화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질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바르게 반응하며 기질에 맞는 학습법을 통해

아이의 잠재된 능력을 발달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질의 세가지 유형

 

 

                  순한 아이   

                  easy child

          까다로운 아이   

          Difficult child

                느린 아이 

     Slow - to - worm-up child

 발달

 음식섭취와 수면의 규칙성이 빨리 발달됨

 신체기능이 불규칙하며, 음식섭취와 수면,

 일과의 규칙성이 느리게 발달. 

 까다로운 아이보다는 규칙적이고,  

 순한 아이보다는 불규칙함

 환경

 새로운 자극에 긍정적으로 반응변화에

 빨리 적응함 

 새로운 음식, 낯선 사람, 일상생활의 변화

 에 적응이 어려움

 반응강도가 약가고, 새로운 자극에 반응

 이 느리고, 다소 부정적인 반응

 기분

 평온하고 긍적적인 기분,미소를 많이 짓고,

 좌절을 거의 반항없이 받아들임

 다른 아기에 비해 더 오래, 더 크게 움

 양육자가 강압적이지 않으면, 적절한 

 적응을 보이고, 관심과 즐거움을 나타냄

 양육자의

 자세

 양육자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줌

 양육자의 많은 인내와 체력 및 지원을   필요로 함

 양육자의 인내가 필요함.

 비율

 아이들 중 40%에 해당됨

 아이들 중 10%에 해당됨

 아이들 중 15%에 해당됨

* 65%만이 세 가지 유형에 속하며, 나머지 35%의 아이들은 어느 유형에도 속하지 않는 보통의 기질로 구분

 

 

기질은 유아기만의 고유한 특징일까요?

연구결과, 3세때의 기질은 18세와 21세의 성격과 밀접한 상관이 있고,

 

특히 긍정적인 정서보다 부정적인 기분이나 까다로움 등 부정적인 정서적 특징들은

연령이 증가해도 상당히 지속됩니다.

그러므로 기질을 잘 관찰하고 적절히 반응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기질에 따른 학습법

 

부모는 자녀의 기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기질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이해하면서

 자녀를 도울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해야 합니다.

 

동일한 기질을 가진 유아라도 어떠한 환경에 노출되었는가에 따라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누릴지,

아니면 불행하고 부정적인 삶을 누릴지가 결정될 수 있습니다.

 

 

 순한 아이

 까다로운 아이

느린아이 

양육

방식 

아이의 선택을 존중한다.

아이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고 감정에 공감해 준다.

변화에 잘 적응하지만 한꺼번에 너무 많은 변화를 시도하지 않는다.

 아이의 감정을 편안히 받아주고,   

 감정표 현을 지지하고 격려한다.

 환경변화를 최소화한다.

부모의 방식을 지나치게 고집하지 않는다.

아이를 비난하거나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는다

변화 혹은 새로운 것을 시작할때 충분한 시간을 준다.

아이의 느린행동에 너무 조급해하지 않는다. 

 

 * 외향적인 사람: 비교적, 여러 사람과이 대화에 강함. 더 많이 이야기함. 변화를 쉽게 받아들임.

* 내향적인 사람: 혼자 시간 보내기, 1:1 대화에 더 강함. 더 많이 들음. 변화를 받아들이는게 어려움.

 

 

우리 아이 어떻게 학습해야 할까요?

 

  순한아이

  남과 비교하지 않고, 적당한 칭찬이 필요합니다.

  자신감을 가지면 훨씬 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때 자기만의 학습 방법이 필요합니다.

  동기가 중요하므로 멘토를 찾는 것이 좋습니다.

  혼자 공부하는 시간을 주고 틀린 문제를 점검해 줍니다.

 

  까다로운 아이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손에 잡을 수 있다고 확신할 수 있는 뚜렷한 목표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6개월~1년 후의 학습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워 전체를 보는 안목을 키워 줍니다.

  전체와 부분, 개별 개념의 관계를 파악하는 마인드맵을 작성하여 포인트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느린 아이

  목표달성을 위해서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해줍니다.

  목표를 위해 왜 공부해야 하는지 생각해보도록, 도와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